[kubernetes]Static Pod생성하기
Static pod이란??
스태틱 파드 는 API 서버 없이 특정 노드에 있는 kubelet 데몬에 의해 직접 관리된다. 컨트롤 플레인에 의해 관리되는 파드와는 달리, kubelet 이 각각의 스태틱 파드를 감시한다.
대표적인 static pod는 etcd, kube-apiserver, kube-controller-manager, kube-scheduler가 있다.
#staticPodPath 경로 확인
cat /var/lib/kubelet/config.yaml
위 파일을 확인하여 staticPodPath의 경로를 확인한다.
해당경로에 있는 파일을 확인해보면 etcd, kube-adiserver, kube-controller, kube-scheduler를 구성하는 yaml 파일을 확인 할 수 있다.
해당 경로에 pod만 생성이 가능하며 spec에서 서비스어카운트, 컨피그맵, 시크릿등 다른 api object는 참조 할 수 없다.
pod을 생성하는 yaml을 해당 경로에 옮겨주면 static pod 생성이 완료된다.
각노드에 같은 static pod을 생성할 경우 daemonset을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CKA를 자격증시험을 준비중인데 기존에 알지 못하던 개념은 블로그에 정리하면서 CKA자격증에 도전해볼 예정입니다.
틀린부분이 있어 보완해야하는 부분은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ref : https://kubernetes.io/ko/docs/tasks/configure-pod-container/static-pod/
스태틱(static) 파드 생성하기
스태틱 파드 는 API 서버 없이 특정 노드에 있는 kubelet 데몬에 의해 직접 관리된다. 컨트롤 플레인에 의해 관리되는 파드(예를 들어 디플로이먼트(Deployment))와는 달리, kubelet 이 각각의 스태틱 파
kubernetes.io